현관문 틀에 합판으로 평탄한 표면을 만들어주고
3연동 중문을 시공할 정면에 틀을 잡아줍니다.
측면부 창 모양은 긴 직사각형으로 디자인하여 심플한 라인을 살렸습니다.
현관 문틀에 이어 벽체 부분에도 MDF 합판을
현관문 감싸기를 마치고 나면 3연동 중문 설치를 시작해 줍니다.
하단 합판을 덧대 평탄한 표면을 만들어
준비된 중문틀을 가벽 사이에 끼워 설치합니다.
하부 레일은 중문틀과 톤을 맞춰 밝은 톤의 인조대리석으로 제작했습니다
사용 빈도수가 높은 3연동 중문은 상부와 하부, 양측면
틀어짐이나 기울어짐 없도록 수평 수직을 정밀하게 맞춰 줍니다.
중문틀을 설치하고 남은 공간들은 합판으로 깔끔하게 표면을 만들어 주도록 합니다.
문짝을 끼워주기 전 전용선 작업으로 까낸 벽체 표면을 정리해 주고
신발장 하단 띄움 부분의 마감을 위해 합판을 덧대 놓습니다.
기본적인 작업을 모두 마치고 나면 제작된 3연동 중문 문짝을
문틀에 끼워 시공을 마칩니다.
초슬림 프레임을 적용한 3연동 중문은 메인 컬러인 화이트로 제작했습니다.
상, 하부로 디바이딩 된 디자인으로 상부는 투명 유리, 하부는 플루트 유리
옵션으로 공간의 포인트를 주었습니다.
측면 가벽 창에는 얇게 몰딩을 둘러 라인을 강조해 주고 추후 유리를 끼워 조금 더
마지막 현장 정리로 현관 목공사 공정을 마무리합니다.